분류 전체보기 1515

대정현의 입구가 되는 문도지오롬

삼다일보 승인 2024.09.19 18:36 문도지오롬의 현재 행정구역은 한림읍 금악리3444번지에 있으며 해발 260.3m, 비고 55m, 둘레1335m, 면적 10만6436㎡로 비교적 작은 오롬이다. 한림에서 제일 큰 금오롬과 비교해 보면 면적은 6분의 1, 둘레는 절반 정도지만 결코 작은 오롬은 아니다. 지정학적으로 보면 이 오롬의 유래와 유관하다.‘오름나그네’는 풍수지리설에 남송이오롬은 솔개, 문도지오롬은 ‘죽은 돼지 형상’이라고 한다. ‘문돋이’는 돋을무늬로 짠 비단이며 또한 문도(門徒)는 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문하생이며 불교에서는 불교 신도, 중국에서는 기독교 신자를 일컫기도 한다. 김승태 선배는 그 위치로 보아 ‘문(門)+도(道)’의 해석이라고 한다.이 견해는 필자도 같은 생각이다. 그..

입 벌린 거미에게 물릴 것 같은 문새기오롬

삼다일보 승인 2024.09.12 18:27 문새기오롬은 송당리 산 254번지에 있다. 오롬의 높이는 해발 291.8m, 비고(실제 산 높이)는 67m이다. 서쪽 이웃의 당오롬 비고는 69m지만 동네 남쪽이나 북쪽 송당초등학교에서도 뚜렷하게 그 모습이 보이는 당오롬과 달리 문새기오롬은 높은 오롬들 속에 있어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문새기오롬은 동거미(115m) 자락과 북쪽 200~300m에 높은오롬(175m), 남쪽 500m 쯤의 개역이(백약이·132m), 서쪽 800m 쯤의 아부오름 사이에 숨어 있는 시골 비바리 같은데 몇 년째 ‘입산 금지’이다. 그 까닭은 순진하게 누워 있는 깊은 산속 비바리 가슴을 짓밟는 산악전동차 군단 때문이다.몇 년째 입산금지 된 오롬은 언제 풀릴지 모르는 일이다. 산악전동..

풀 숲에 누운 소등처럼 펑퍼짐한 금악리 누운오롬

삼다일보 승인 2024.09.05 18:55 모처럼 한림읍 누운오롬을 탐방하려고 누운오롬을 살펴 본다. 누운 오롬은 눈오롬 또는 논오롬으로 불린다. 다시 소개하면 제주시 해안동 눈오롬, 삼앙동 논오롬, 한림읍 금악리 누운오롬, 애월읍 장전리 눈오롬, 애월읍 봉성리 논오롬, 광령리 웃세누운오롬, 안덕면 화순리 논오롬 등 일곱 개가 있다.이 중 누운오롬이란 뜻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누워 있다’라는 뜻이고,하나는 ‘논밭(답·沓’이란 의미다. 화순의 논오롬은 굼부리를 논밭이란 의미이고, 다른 의미의 누운(와·臥)이란 의미로는 해안동·금악리·장전리 경우는 ‘소가 누워 있다’하여 와악(臥握), 와우악(臥牛岳)이라 불렸고, 한라산 중턱의 광령리 오롬도 같은 의미다.누운오롬들은 신기하게도 제주 서북지역 중에 있다는 ..

미르형 분화구가 연꽃같이 둘러싸인 세미소오롬

삼다일보 승인 2024.08.30 09:15 세미소오롬은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363번지에 있다. 오롬의 높이는 해발 374.8m, 비고 30m, 저경 486m, 오롬 면적은 160.093㎡이다. 세미소오롬은 한림읍에서 제일 높은 금악오롬(178m)과 두 번째 높은 정물오롬(151m) 사이에 있다. 금악오롬은 동북쪽에 정물오롬은 서북쪽에 있고 그 중간에는 이시돌 목장이 있는데 세미소오롬은 그 안에 자리잡고 있다.이시돌목장은 6·25휴전과 4·3사건이 끝날쯤에 아이랜드 천주교 콜롬반선교회의 파송으로 제주도로 온 패트릭 제임스 멕크린지Mcglinchey(1928~2018) 신부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의 한국명은 임피제로 제주 농촌개발에 공로를 인정받아서 막사이사이상을 받았으며, 그가 소천(召天)하기 3년 전..

겹쳐진 세 오롬 중 서쪽에 있는 섯궤벤이오롬

삼다일보 승인 2024.08.09 11:25 한라산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제1 횡단도로는 제주시에서 서귀포로 나가는 동쪽 중턱에 있다. 그 중의 섯궤벤이는 거듭되는 궤벤이 세 오롬들 중에 해발 774m, 비고 59m로 제일 서쪽에 위치하여 있다. 그래서 큰궤벤이·샛궤벤이 서쪽이라 섯궤벤오롬이라 한 것이다. 섯궤벤이는 큰궤벤이오롬과 샛궤벤이오롬들과 같은 조천읍 교래리 산137-1번지에 있다.  제주 역사상 1703년 이형상 목사가 발행한 ‘탐라순력도’에서 이 오롬은 추다악(皺多岳)으로 소개되었다. 추(皺·zhòu)는 ‘주름이 잡히다·쭈굴쭈굴하다’, 多(duo)는 ‘많다·넓다·겹치다·포개지다’는 뜻으로 그 모양을 잘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앞서 몽골어 궤(ГҮВЭЭ(언덕))+벤(БАЙН(계속))..

바람을 막아주고 햇살이 비치는 거주지

뉴제주일보 승인 2024.08.01 18:00염통메 정상탐방로. 제주시 동쪽에서 애조대로를 타고 서쪽으로 가노라면 연동의 연속되는 동글동글한 쌍둥이 오롬들이 계속되는 걸 보고, ‘우와!’하고 감탄하게 된다. 봉개동 민오롬(무녜오롬)-남짓은오롬-광이오롬-염통메(생이=상여오롬)으로 이어지는 오롬들이 포근하고 정겹다.염통메는 연속(連續)되는 오롬 군락의 마지막 서쪽 끝인 제주시 연동 1026-3번지 일대에 자리 잡고 있다. 오롬의 높이는 해발 245m, 비고 60m, 둘레 1496m, 면적 162,799m로 연동 세 자매 오롬 중에 막내로 높이·둘레·면적 그 어느 것이나 작고 낮은 언덕 같다.연동 세 자매 오롬 중에 광이오롬은 ‘한라수목원’으로 개발되면서 제주에서 가장 곱게 치장한 공주님 같다. 또한, 세 자..

세 오롬 중 맏형인 남짓은오롬의 한 많은 사연

뉴제주일보 승인 2024.07.25 17:59남동쪽 광이오롬샛길에서 본 모습. 제주시 오라동과 경계를 이루는 ‘남짓은오롬’은 제주목(濟州牧) 좌면(조천읍)과 제주목 우면(애월읍) 중간인 제주시 연동에 있다. 애조로를 지나면 동글동글 고운 세쌍둥이오롬을 지나며 보게 된다. 제주시 남쪽 연동의 세쌍둥이인 남짓은-광이-생이오롬이다. 또한, 서북쪽으로는 봉개동의 세쌍둥이인 민오롬-큰대나-족은대나오롬이 있다.남짓은오롬은 제주시 연동 산25번지에 있다. 남짓은오롬의 해발 높이는 296.7m, 순수한 오롬 높이인 비고는 167m, 오롬의 둘레는 3,072m, 저경은 939m, 면적은 637.805㎡이다. 남짓은오롬의 세 자매 봉우리 남쪽으로는 연동 검은오롬과 노루샘이(생이)오롬이 있고 그 앞(남(南))으로는 한라산국..

광(廣)+히(ХИЙХ)는 ‘넓게 만들다=넓히다’는 뜻

뉴제주일보 승인 2024.07.18 18:27 제주시에서 애조로를 타고 가다보면 연동에 이르러서 왼쪽으로 동글동글한 쌍둥이 오롬들을 보게 된다. 제일 오른쪽이 봉개동 민오롬인데, 그 뒤로 제주시에서 제일 높은 드림타워 라는 쌍둥이 빌딩도 보인다. 그리고 연동의 세쌍둥이 오롬인 남짓은오롬과 광이오롬 그리고 서쪽으로는 언덕처럼 보이는 낮은 상여오롬(염통악·念通岳)이 보인다.제주 오롬들 중에서 가장 아름답게 치장한 공주를 뽑으라면 당연히 연동 광이오롬 일 것이다. 그런데 그 이름이 덜 알려진 것인지, 등잔 밑이 어둡다고 해야 할 런지, 광이오롬이 그렇다. 거기에는 이유가 있는데, 절물오롬은 ‘오롬’ 그 자체가 공원 이름이지만 광이오롬은 오롬 전체가 공원이나 ‘한라수목원’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 때문이다.한라수..

당오롬에 가려 어둑한 오롬 괭이(개기·皆旣)모르

뉴제주일보 승인 2024.06.20 18:25 괭이모(ㅁ+아래아)르(모루/마루)는 구좌읍 송당리 산198번지, 해발 253.2m, 비고 33m, 면적 89,301㎡의 작고 낮은 오롬이다. 북쪽 자락의 당오롬은 산199-1번지~산200번지로 해발 274.1m, 비고 69m, 면적 141.135㎡로 작지 않은 오롬이다. 괭이모루는 당오롬 남쪽의 아부오롬으로 나가는 송당6길에 있으며 길 건너 동편에는 대물동산, 서편에는 서수모루가 있다.제주도 368개 오롬들 중에 ‘모르’라 이름 붙은 곳은 괭이모르·서수모르 두 곳뿐이나 비슷한 형태는 부지기수다. 예로써(비고/m) 성산읍-낭끼오롬(40)·본지오롬(32)·남원읍-마은이옆(53)·애월읍-이스렁(37)·안덕면-마보기(45)·하늬보기(42)·제주시-배두리오롬(10)·..

당오롬에 가려 어둑한 오롬 괭이(개기·皆旣)모르

뉴제주일보 승인 2024.06.20 18:25 괭이모(ㅁ+아래아)르(모루/마루)는 구좌읍 송당리 산198번지, 해발 253.2m, 비고 33m, 면적 89,301㎡의 작고 낮은 오롬이다. 북쪽 자락의 당오롬은 산199-1번지~산200번지로 해발 274.1m, 비고 69m, 면적 141.135㎡로 작지 않은 오롬이다. 괭이모루는 당오롬 남쪽의 아부오롬으로 나가는 송당6길에 있으며 길 건너 동편에는 대물동산, 서편에는 서수모루가 있다.제주도 368개 오롬들 중에 ‘모르’라 이름 붙은 곳은 괭이모르·서수모르 두 곳뿐이나 비슷한 형태는 부지기수다. 예로써(비고/m) 성산읍-낭끼오롬(40)·본지오롬(32)·남원읍-마은이옆(53)·애월읍-이스렁(37)·안덕면-마보기(45)·하늬보기(42)·제주시-배두리오롬(10)·..